728x90

전체 글 119

#ATM문제 (소수점 표현)

해당 ATM 문제를 풀어보자 일단 최초 코드는 이렇다 하지만 이렇게 코드를 짤 경우 한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출력값이 소수점 한개로 나온다는 것 이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새로운 함수를 사용했다 cout.precision(2); // 소수점 포함 모든 자리수의 갯수를 정해 줄 수 있는 함수 하지만, 내가 원하는 것은 소수점만 2자리를 표현하고 싶다. 이때 cout

#8 Switch문, While문 그리고 난수

# Switch문 일종의 스위치 같이, 상수 조건에 맞는 것을 실행한다. 구문은 switch( 조건( 변수 ) ) { case 상수1 : break; // break를 쓰지 않으면, 이 케이스가 실행될 때, 아래 케이스까지 같이 실행됨. // 따라서 break문으로 switch식을 나가줘야한다. case 상수2 : break; default: break; } 이때 조건 안에 들어가는 자료형은 정수형(int형) 이어야 한다 해당 변수가 상수1의 조건에 부합되면 case 상수1을 실행한다. # While문 반복적으로 수행 할 코드가 있을 경우,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다. while(조건) { 코드 } 조건이 부합하는 한 while문 안에 있는 코드는 계속해서 수행되며, 탈출방법은 두가지가 있다. 탈출1. 조건..

개발 Study 2021.04.03

#7 if문 및 삼항연산자

1. if문 if문은 조건을 따져서 해당 조건에 맞으면 수행하고, 그렇지 않으면 수행 하지 않는 조건문이다. if(조건) { 수행 할 문구; } 이때 조건이 맞는다면 수행 할 문구가 수행되고 아니면 수행 되지 않는다. 다양한 조건을 따져 보려면 else if 와 else 를 사용하면 된다. 둘 다 if 문이 없으면 사용하지 못하며, else는 if와 else if의 조건이 모두 거짓 일 경우 수행 된다. else if(조건2) { 수행 할 문구2; } else { 수행 할 문구3; } 2. 삼항연산자 삼항연산자는 if, else 문을 하나에 쓴 것이라고 보면된다. ? 와 :를 사용하며, 조건 ? 참일 때 수행 : 거짓일 때 수행 으로 쓰게 된다.

개발 Study 2021.04.01

#5 n진수 및 연산자

@n진수 1. 10진수 우리는 일반적으로 10진수를 사용한다. 10진수는 0~9로 표현된 숫자이다. 2. 2진수 컴퓨터는 2진수로 구성되어 있다. 2진수는 0과 1로 표현된 숫자이다. 3. 8진수 0~7로 표현된 숫자이며, 숫자8은 10으로 표기한다. 이때 8진수라는 표현을 하기 위해 맨 앞에 0을 써준다. -> 010 => 8 4. 16진수 0~9 그리고 A ~ F까지 표현된 숫자이다. 숫자 10부터 A로 시작해서 15는 F라고 표현한다. 이때 16진수라는 표현을 하기 위해 맨 앞에 0x를 써준다. -> 15 -> 0xF *2진수로 모든 수를 표현 할 수 있다. 2진수 0010 1101(45) -> 8진수로 바꿀때 3개씩 끊어서 한 자리수로 연산 00/101/101 -> 055 2진수 0010 1101..

개발 Study 2021.03.31

#4 변수 표기법

1. 카멜 표기법(camel case) - 낙타 등처럼 내려갔다 올라가는 모양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 - 단어가 여러개 붙을 때, 앞 단어를 제외한 첫자를 대문자로 표기 ex) dailyUserTable ​ 2. 파스칼 표기법(pascal case) - 모든 단어의 앞자가 대문자로 시작(단어의 수와 상관 없음) - 네임스페이스, 이벤트, 프로퍼티, 클레스 네임을 지정할 때 주로 사용 - 클래스 등에서 많이 사용 ex) DailyUserTable ​ 3. 스네이크 표기법(snake case), 팟홀 표기법(pothole case) - 모든 단어가 소문자로 표시 - 다른 의미를 갖는 단어들의 조합에서 각 단어의 구분을 위하여 언더바( _ )를 붙힘 - 단어 사이의 '_' 가 뱀처럼 보인다고 해서 유래 - 언더..

개발 Study 2021.03.30

#3 아스키코드 및 리터럴 상수

컴퓨터의 음수 표현 컴퓨터는 모든 수를 이진수로 표현한다. 예를 들면 10 = 00001010 음수는 어떻게 표현 할까? -> 2의 보수를 취하여 표현한다. 2의 보수란 -> 1의보수 + 1 1의 보수는 모든 비트의 반전 ex -10 은 10인 00001010에서 1의보수를 취하여 11110101 에서 +1을 한 값 =>11110101+1 = 11110110 11110110이 -10인지 확인 00001010 ( 10) + 11110110 (-10) _____________________ 00000000 ( 0 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아스키코드 (ANSI) 0~127까지 총 7bits를 사용함 맨 앞의 비트를 parity bit(패리티 비트)라고 하며 통신 에러..

개발 Study 2021.03.30

#2 변수 및 자료형

Tip : 주석 사용 단축키 주석 설정 : ctrl + k + c 주석 해제 : ctrl + k + u *ctrl + u -> 모든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경하는 키 이므로 주의 할 것 -> namespace : C++부터 등장한 것으로 중복된 이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 예를 들면, A라는 곳의 option 기능과 B라는 곳의 option 기능 을 가진 같은 이름의 기능이 있을 때, using namespace A; 또는 using namespace B; 를 사용하여 A쪽의 option 함수를 불러와서 사용할지, B쪽의 option 함수를 불러와서 사용할지, 선택하여 using namespace 를 선언해준다. 스코프 연산자(::)는 using namespace 선언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. ..

개발 Study 2021.03.29

#1 기본개념 및 시작

C언어 : 절차지향 언어 -> 코드가 순서대로 실행됨 ex) 프로세스1 -> 프로세스2 -> 프로세스3 장점 : 처리 속도가 빠르다 / 계산 순서나 처리 과정이 중요한 작업에서 적합 단점 : 과정 중간에 오류가 발생 할 경우 처음부터 코드를 짜야함 / 유지보수 어려움 C++ : 객체지향 언어 -> 객체 별(덩어리)로 인식하여 덩어리를 개발함 ex) 메소드1 메소드2 객체끼리 서로 상호작용하며 진행됨 장점 : 중간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순서가 틀려도 일부분만 수정 / 유지보수 편리 단점 : 절차지향에 비해 속도가 느림 *실행파일 생성과정 실행파일 생성 과정 순서 코드작성 -> 전처리기 -> 컴파일 -> 어셈블러 -> 링크 -> 실행 파일 생성 ​ 1. 코드 작성 사용자가 프로그래밍 문법에 맞게 코드를 작성하..

개발 Study 2021.03.26